목록경제, 기업분석 기초! (6)
Exponential growth

1. 서론 #1 19세기,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생산성이 높아지고 의학의 발달로 질병 및 외과의술이 보편화 됨에따라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농사를 짓던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 도심에 위치한 공장에 취업하기 위해 상경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고 빈곤 인구 또한 급증하게 됩니다. 이 시기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는(1766~1834)영국의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빈곤층도 늘어나는 현상을 바라보며 32세에 인구론을 집필합니다. 그는 인구 증가를 '재앙'으로 표현하면서, 식량부족에 따른 빈곤을 줄이기 위해 인구를 통제할 것을 주장했으며, 그 방법으로 노동자의 임금을 통제할 것을 제안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18세기 전까지 영국 인구가 100년마다 100만명이 증가했..

시중에 돈이 풀리고 있습니다. 실물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물가 오르는게 눈에 보이고, 부동산, 주식 가격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경제하방압력이 너무나 거세어 정부는 어떻게든 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돈을 풀고 있고, 개인들은 낮은 금리로 인해 예금금리는 의미가 없어져 대출을 받아 부동산과 주식이라는 자산에 투자하려고 하고있기 때문입니다. 유럽에서 이자도 주지않는 마이너스 금리 채권이 버젓이 팔리는 현상이 이를 반증합니다. 그렇게 시중에 돈이 풀리지만 소비재의 물가는 거의 떨어지지 않은채 막대한 돈이 성장하거나 안전한 자산으로 쏠리면서 점차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돈을 푸는 역할은 누구 할까요? 바로 정부입니다. 당연히 국가에서 돈을 풀며, 정부는 경제안정화를 위해 크게..
저는 기업을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ROE를 활용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순이익 / 자기자본 이 공식을 그대로 활용하시는 분들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데에 쓸데없이 학구파(?)라 ROE를 좀 더 쪼개서 봅니다. ROE를 단순히 [순이익/자기자본] 보단 '듀퐁 방정식'을 사용해 기업을 분석합니다. 그렇다면 듀퐁 방정식을 이용해 ROE를 쪼개 보면 좋은게 있는지에 대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듀퐁방정식을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 방정식을 활용해 나름의 기준을 세울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예를들어, A기업의 ROE는 20%이고 B기업의 ROE가 30%라고 가정했을때 단순히 ROE만 보면 B기업이 더 좋아보이긴 한데, 단순히 [순이익 / 자기자본] 비율만 보고 판단하기엔 정확한 판단을 내..

가치평가분석 3번째 글 입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한 가지 강조하고 싶은게 있습니다. 미래 주가를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내 인생이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내일 벌어질 일도 100% 예상할 수 없는데! 어떻게 감히 한 기업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그럼에도 현재 소비를 포기하고, 미래를 위해 피같은 돈을 투입해 미래 더 높은 구매력을 보장받기 위해 투자를 해야 하겠다면, 당연히 투자 대상에 대해 열심히 분석을 해야겠죠. 저는 가치평가라는것이, 주가 예측이 아닌 모형의 일반화를 통해 기준을 정하고 사지 말아야 할 자산은 피하고, 사야할 자산을 정하는 과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워렌버핏이 해준 조언을 철저하게 이행하고자 해도... 사업보고서를 읽고 그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1. 화폐의 시간적 가치 단리이자 : 본래 원금에 대해서만 지불되는이자 I = PV ×i×n i = 이자율 n = 기간 Ex) 100만원을 연 5%로 6개월간 저축할 때 단리이자는 100 * 0.05 * (6/12) = 2.5만원 FVn = PV0 + ( PV0 * i * n ) 혹은 FVn = PV0 * ( 1 + i * n ) Ex) 3년간 연 5%의 단리이자를 지급하기로 한 사람에게 2000만원을 투자했다. 이때 3년 후 받게 될 금액은? 2000만 + (2000만 * 0.05 * 3) = 2300만원 복리이자 : 한 기간에 발생한 이자가 그 다음 이어지는 기간동안 그 이자 자체가 이자를 벌어들임 미래가치 : FVn = PV0(1+i)^n Ex) 연 5%로 1년에 한번 복리이자를 지급하는 저축예금이..

Part1 개요 Part 2 증권분석 기초 연금의 연금의 현재가치(PV)와 미래가치(FV) DCF법과 채권평가 기초 Part 3 가치평가 기본 성장모형, 항상성장모형, 초기 고속성장모형 & 리스크 관리 Part 4 재무제표 분석 각종 재무비율 분석(ROA, ROE 등) 레버리지도(DOL, DFL, DCL) Part 5 가치평가 방법 상대가치 평가 경제적 부가가치(EVA) 현금흐름모형 기업가치 분석은 크게 2가지 흐름에서 접근 가능. 1. Top down 2. Bottom up 나름대로 이 방식을 정의해 보자면, 탑다운 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거시경제분석(국가별, 국가 내 경제상황)을 분석한 후 산업분석, 기업분석으로 내려오게 됨. 이 방식으로 접근하면 아무래도 마켓타이밍, 그러니까 주로 경제상황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