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시장 기록 (15)
Exponential growth

1. 미 연준 및 신용평가사 더보기 - 미 연준이 BBB- 이하 회사채는 지원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에, 회사뿐만 아니라 국가 신용등급 하락 여부도 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가 신용등급 하락시 원화가치, 주요 기업들 역시 악영향을 받기 때문) 다행히도 4월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에는 이상이 없는듯 보입니다. 15일(현지시간) 연방기금금리(FFR)를 ‘제로’(0) 수준으로 전격 인하했다.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1%포인트의 대폭적 금리인하다. 지난 3일 단행한 0.5%포인트 인하의 2배 폭 규모이자, 불과 13일 만에 이뤄진 전격적인 조처다. 연준은 “5000억달러 규모의 국채와 2000억달러 규모의 모기지 증권을 매입할 것”이라고 밝혀, 모두 7000억달러(852조원) 규모의 양적완화(QE) 프로그램 시작..

3/21까지 더보기 1. 미국 상황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19일 미국의 지난주 실업수당 신청이 전주보다 7만 건(33%) 늘어 28만1000건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7년 9월 2일 신청 건수(29만9000건) 이후 최대치다. 노동시장의 경향을 보여주는 4주간 변동 평균치는 지난주 기준 1만6500건 늘어난 23만2250건으로 집계됐다.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이 의회에 경기부흥책을 설득하며 “적극적인 조치가 없으면 미국 실업률이 20%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는 발언이 알려지기도 했다. 아래는 IB가 내놓은 전망 19일(현지 시간) 미국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올해 2분기(4∼6월) 미국에서 350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져 실업률이 현재 3.5%에서 2배 가까이..

OXY는 1주만을 남기고 모두 정리했습니다. OXY는 사우디-러시아발 원유가 폭락에 순식간에 반토막 이상이 났기때문에 빠른 대응이 어려웠고, 사실 그 시점에선 손절보다 길게 보고 평단을 낮추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코로나가 길어지게 된다면 여전히 수요처를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제 곧 여름이 온다는게 걸렸습니다. 난방유라는 수요도 여름동안 사라지게 됩니다. 미국 정부가 사우디를 압박하거나 설득해 협상을 이끌어 낼 수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심지어 코로나가 여름까지도 완전히 잡힌다 하더라도 소비위축으로 인해 공급사슬이 이전처럼 다시 원상복귀 하는데까지(세일산업이 다시 제자리를 찾을 때까지)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고. 설령 코로나가 여름이 오기전 잡힌다 해도, 셰일업계에 남은 좀비기업 상당수가 구..

1. 시장기록 지난 몇 년간 우리는 그동안 가보지 않았던 길들을 많이 가보았습니다. 그동안 못 볼꼴, 전례없는 일들, 역대급 사회, 경제지표들을 보았죠 코스피가 1400선을 밟았습니다. 하지만, 코스피는 이미 몇 번 와봤던 곳이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484277&isYeonhapFlash=Y&rc=N 주가 폭락에 코스피·코스닥 또 동시 서킷브레이커 발동(종합) 지난 13일 이어 두 시장 거래 20분간 중단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19일 장중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동시에 8% 넘게 폭락하면서 또 두 시장의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한국거 news.naver.co..

1. 제로 금리시대, 다시 도래하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31608404044138 美, 5년 만에 '제로금리'에도 지수선물 '하락' - 머니투데이 뉴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1%포인트 전격 인하, 5년 만에 '제로 금리' 시대를 열었지만 미 지수선물은 오히려 하락 중이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확산세... news.mt.co.kr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1%포인트 전격 인하, 5년 만에 '제로 금리' 시대를 열었지만 미 지수선물은 오히려 하락 중이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확산세인 가운데 투자자들은 확산 상황을 지켜보며 여전히 투자를 주저하는 심리가 ..

1. 2020. 03. 13 시장폭락 기록 아주 변동폭이 컸던 하루였습니다. 시초부터 -8% 하락하기 시작해 1600대도 찍어주고 서킷 브레이크도 걸려보고 아주 난장판이었습니다. 그리고, 시장이 한창 개판 5분전일때 등장하는, 누구나 아시는 그분이 계시죠. 연기금 언제 등장하나 했네요. 당연히 나와서 국민들 돈으로 시장방어 해야죠^^ 덕분에 삼성전자를 앞세워 시장이 급반등했고, -3%선에서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른 종목은 거의 다 폭락해 있는데, 삼성만 유난히 반등했더군요. 개인이 많이산것 같은데, 되려 간담이 서늘해지고 아직 바닥이 더 남은건가... 하는 왠지모를 생각이 들더군요. 어쨋거나 연기금 우주방어를 '또' 보면서 문뜩 든 생각은 한국은 국민연금 없었으면 시장이 망가질때마다 어떻게 대처했으려나 ..

매우 인상적이었던, 혼란한 장이니 만큼 오늘 그리고 근래 돌아가는 시장 상황을 기록해 봅니다. 1. FED 기준금리 0.5% 전격인하 배경 정말 혼란한 장입니다. 시장을 예측한다는건 무의미 하지만, 그래도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음 같아서는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따라가려고는 하지만, 정말 어렵네요. 저번주 FED가 0.5% 금리인하를 단행했습니다. 그간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인하에 주가 상승으로 화답했는데, 이번 '빅 컷'에는 주가 하락으로 반응했습니다. 투자자들이 FED의 이번 조치에 '뭐지..? 우리가 모르는 뭔가 있는건가?' 하고 의심하기 시작한 것이죠. 작년, 2019년 9월 레포금리(단기 채권시장)가 급등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 놀란 연준은 작년 9월 QE를 재가동하기 시작했습니..